연락주세요

송미령 장관 “전통주 만들 때 들어가는 우리쌀 6배로”

2025-02-20 IDOPRESS

전통주에 사용되는 우리쌀 5년 내 3만t 목표


K푸드 수출 때 전통주 끼워파는 마케팅 검토


전통주 인정 요건 완화에 대해서는 ‘긍정적’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0일 충북 청주 한정식집에서 열린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최근 현안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전통주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전통주에 사용되는 우리쌀 소비량을 현재 연간 5600t에서 5년 내 3만t으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송 장관은 20일 충북 청주의 한정식집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일본 사케는 연간 30만t의 쌀을 소비하는데 우리 전통주는 5600t에 불과하다”면서 “1차 목표는 5년 내에 우리쌀 3만t이 전통주에 사용될 수 있도록 시장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해외 마케팅 전략도 내놓는다. 송 장관은 “K-푸드를 수출할 때 전통주도 함께 페어링해 수출하는 방안을 구상 중”이라며 “재외공관을 통해 전통주 홍보물과 카탈로그를 배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K-푸드와 마찬가지로 해외에서 팝업스토어 등을 활용해 소비자 접점을 확대하는 방식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전통주의 엄격한 기준 완화 필요성도 언급했다. 현재 전통주는 무형문화재나 식품명인이 만든 ‘민속주’와 농업인이 지역 농산물로 만든 ‘지역특산주’로 규정된다. 전통주 소비를 늘리려면 현행 세 가지 요건 중 두 가지만 충족해도 전통주로 인정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게 송 장관의 생각이다. 송 장관은 “다만 전통주의 정체성이 무너지면 안되기에 차츰 전통주 시장이 커질 수 있도록 나아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통주 요건 완화가 논쟁의 소지가 있는 만큼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

앞서 농식품부는 지난 12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전통주 산업 활성화 대책’을 발표하며 기존 발효주에만 허용됐던 소규모 주류제주면허를 증류식 소주·브랜디·위스키 등 증류주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소규모 전통주 제조업체에 대한 주세 감면 혜택을 2배로 늘려 소규모 양조장 육성을 지원할 방침이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다른 매체에서 재생산되었으므로 재 인쇄의 목적은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지,이 웹 사이트가 그 견해에 동의하고 그 진위에 책임이 있으며 법적 책임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이 사이트의 모든 자료는 인터넷을 통해 수집되며, 공유의 목적은 모든 사람의 학습과 참고를위한 것이며, 저작권 또는 지적 재산권 침해가있는 경우 메시지를 남겨주십시오.
©저작권2009-2020 제주재경일보    연락주세요 Sit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