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31 HaiPress
엔비디아 칩 공급 계약…산업현장 AI 도입 박차
이해진 “AI와 클라우드 기술로 산업 도약 지원”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경북 경주시 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국내외 기업 대표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최태원 SK그룹 회장,젠슨 황 엥비디아 최고경영자(CEO),이재명 대통령,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연합뉴스] 네이버와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동맹 관계가 더욱 공고해진다. 네이버는 엔비디아로부터 첨단칩을 공급받아 제조산업 경쟁력 제고와 디지털 혁신을 목표로 산업현장의 인공지능전환(AX) 확대에 나선다.
31일 네이버에 따르면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은 이날 오후 경북 경주시 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의 접견 자리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이 의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자동차의 소프트웨어중심차량(SDV) 전환처럼 AI가 실제 산업현장과 시스템 속에서 작동하는 피지컬 AI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면서 “네이버는 AI와 클라우드 기술로 기업이 데이터를 더 잘 활용하고,국가산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네이버클라우드는 엔비디아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현실 공간과 가상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차세대 피지컬 AI 플랫폼을 공동 개발할 방침이다. 로봇·차량·드론 등 물리적 장치와 AI를 융합해 분석·판단·제어 실행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산업별로 가장 적합한 AI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네이버의 주력 사업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네이버클라우드의 디지털트윈·로보틱스 등 기술 역량과 엔비디아의 옴니버스,아이작심 등 3차원(3D)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결합한 피지컬 AI 플랫폼을 구현해 나가게 돤다. 산업 환경을 가상 공간에 똑같이 재현해 AI가 명령에 맞춰 행동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진다.
또 반도체·조선·에너지 등 주력 산업을 중심으로 AI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산업별 특성을 고려한 AI 적용 모델을 발굴하고,AI 기술이 빠르게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돕겠다는 계획이다. 네이버는 이번 협력이 제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구체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네이버클라우드가 제시한 ‘소버린 AI 2.0’ 비전을 구현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이기도 하다. 기존에는 소버린 AI를 자국 언어와 문화 중심의 모델과 생태계를 확립해 기술 주권을 확보하는 데에 초점을 맞췄다면,이제는 소버린 AI를 국가 핵심 산업과 일상 전반으로 확장해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개념이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이사가 지난 29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최고경영자(CEO) 서밋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네이버] 앞서 최수연 네이버 대표이사는 지난 29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 서밋에 참가해 네이버의 풀스택 AI 구축·운영 경험과 혁신 방향을 소개하고 지원책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네이버는 초거대언어모델(LLM)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데이터·인프라·서비스 영역 전반을 자체 기술로 아우르는 풀스택 AI 체계를 갖추고 있다. 현재는 검색·지도 등 주요 서비스 전반에 AI를 접목하는 ‘온 서비스 AI’ 전략 강화에 주력 중이다.
최 대표는 “네이버가 만들고 있는 AI는 디지털 생태계를 더 섬세하게 연결하는 도구 역할을 하고 있다”며 “네이버는 일찍부터 AI 기술에 선제적으로 투자해 풀스택 AI 생태계를 구축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AI 기술 구현의 핵심 인프라로 AI 데이터센터를 꼽았다. AI 기술 발전의 혜택을 극대화하기 위해 AI 데이터센터에 대한 세제 혜택 확대,행정절차 간소화,입지 규제 완화,전력 문제 해결 등을 요구했다.
최 대표는 “정부와 국회의 적극적인 노력은 기업뿐만 아니라 모두에게 더 나은 미래를 가능하게 하는 인간 중심의 포용적 AI의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이 자리가 우리 모두의 공동 과제를 함께 해결하는 의미 있는 협력의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총수들의 ‘치킨집 깐부모임’...젠슨황·이재용·정의선 AI 동반성장 모색
전문가들 “한미,상호이익 접점 찾아”…반도체 관세엔 “아쉽다”
AI가 뉴스를 읽고 숨겨진 투자 기회까지 찾아드립니다.
남들보다 한발 앞선 투자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닫기
Powered by
perplexity
035420,
KOSPI
267,500
+ 4.70%
NVDA,
NASDAQ
005930,
KOSPI
107,500
+ 3.27%
000660,
KOSPI
559,000
- 1.58%
NAVER
현재가 267,500
+ 4.70%
10.31 15:30
네이버는 검색,지도,쇼핑,콘텐츠 등 다양한 인터넷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며,네이버클라우드를 통해 AI,클라우드,데이터센터 인프라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자체 초거대언어모델(LLM) ‘하이퍼클로바X’ 등 풀스택 AI 역량을 갖추고 있으며,국내외 디지털 생태계에서 높은 브랜드 파워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엔비디아와 첨단 AI 칩 공급 및 차세대 피지컬 AI 플랫폼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습니다. 네이버클라우드의 디지털트윈,로보틱스 기술과 엔비디아의 3D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결합해 제조,반도체,에너지 등 산업현장에 AI 인프라를 구축하고,산업별 특화 AI 적용 모델을 발굴하는 등 비즈니스 프로세스 전반에 AI 기술을 접목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는 네이버의 소버린 AI 2.0 비전 실현과 국가 핵심 산업의 디지털 전환에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네이버는 최근 AI 기반 서비스 강화와 클라우드 사업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디지털 혁신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NVIDIA Corporation
엔비디아는 GPU(그래픽처리장치) 및 AI 반도체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입니다.
엔비디아는 네이버클라우드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여 첨단 AI 칩을 공급하고,네이버의 디지털트윈·로보틱스 기술과 엔비디아의 옴니버스,아이작 심 등 3D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결합한 피지컬 AI 플랫폼을 공동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협력을 통해 반도체,조선,에너지 등 국가 주력 산업을 중심으로 AI 인프라를 구축하며,산업 환경을 가상 공간에 정밀하게 재현하고 AI가 분석·판단·제어를 지원하는 구조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한국 주요 기업과 대규모 GPU 공급 계약을 체결하여 글로벌 AI 인프라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으며,산업별 맞춤형 AI 적용 모델 개발과 제조업 전반의 디지털 혁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삼성전자
현재가 107,500
+ 3.27%
10.31 15:30
삼성전자는 반도체,디스플레이,모바일,가전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는 글로벌 IT 제조기업으로,메모리와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 세계적인 생산능력과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근 인공지능(AI) 반도체,데이터센터,첨단 IT 인프라 사업을 강화하고 있으며,글로벌 고객사와의 협력 경험이 풍부합니다. 엔비디아는 정부와 삼성전자,SK그룹,현대차그룹,네이버클라우드 등 국내 주요 기업에 대규모 GPU를 공급하기로 하였으며,삼성전자는 엔비디아의 GPU를 활용해 AI 인프라 구축과 제조공정의 혁신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AI 반도체 수요 증가와 정부의 AI 인프라 지원 정책 등 외부 환경 변화가 삼성전자의 AI 및 반도체 사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대규모 투자 경험을 바탕으로 AI와 클라우드 중심의 신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SK하이닉스
현재가 559,000
-1.58%
10.31 15:30
SK하이닉스는 메모리 반도체(DRAM,NAND) 및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대규모 생산능력과 첨단 공정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근 AI 반도체,데이터센터용 메모리 등 신사업 확대에 집중하고 있으며,글로벌 IT·클라우드 기업과의 협력 경험이 풍부합니다.
SK하이닉스는 AI 및 데이터센터 분야의 성장에 대응하여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Powered by
perplexity
네이버클라우드·엔비디아 협력 강화가 국내 제조업 혁신에 미칠 영향은?
피지컬 AI 플랫폼 개발이 산업 현장 자동화에 가져올 변화의 의미는?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