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락주세요

지역 핫플이던 국립대 앞, 이젠 폐업의 거리 … 대로변도 '임대'

2025-11-10 HaiPress

8대 지방대 상권 궤멸 위기…대구 경북대 앞 가보니


식당들 평일에도 '휴무' 팻말


그나마 문 연 8천원 한식뷔페


대학생 거의 없고 중장년층만


고령화 가속·청년들 지방탈출


학령인구까지 줄며 상권 붕괴


8대 지방국립대 상권 소비액


50대 이상이 20대 처음 추월

최근 지방 국립대 상권이 빠르게 무너지고 있다. 사진은 10일 충북대 인근에 있는 한 식당이 폐업하는 모습. 이승환 기자

최근 방문한 경북대 인근의 한 한식 뷔페 식당. 음식값은 성인 기준 8000원으로 주머니가 얇은 학생들을 겨냥한 가성비 좋은 식당이지만,점심시간임에도 불구하고 학생은 거의 없고 중장년층 손님이 대부분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학교 수업이 있는 평일 학기 중이지만,학생들이 별로 없는 식당의 풍경은 이 지역에서 어느새 낯설지 않은 모습이 됐다.


학생 손님이 적긴 하지만 이 식당은 그나마 형편이 나은 편이다. 인근 식당들을 둘러보니 손님이 거의 없는 곳이 수두룩했다. 장사가 워낙 안되다 보니 일부 식당은 아예 점심 장사만 하기도 했다. 이마저도 버티지 못한 곳은 평일임에도 정기휴무에 들어갔고,임대 간판을 내건 곳도 즐비했다. 이 지역의 한 식당 주인은 "과거엔 대학가 상권은 장사가 보장된 곳이었지만,최근엔 학생들도 별로 없어 예전 같은 활기를 찾아볼 수 없다"며 한숨을 쉬었다.


핀테크 기업 핀다의 상권 분석 서비스 오픈업에 따르면 지방 국립대 8곳(강원대,경북대,경상국립대,충남대,충북대,전북대,전남대,부산대)의 반경 1㎞ 안에 있는 음식점 수가 매년 줄어들고 있다. 경북대의 경우 식당 수가 2019년 2011곳에서 올해 1133곳으로 44% 급감했다. 이 밖에도 강원대,전북대가 같은 기간 각각 1356곳에서 834곳(-38%)으로,934곳에서 636곳(-32%)으로 감소했다.


청년들이 주요 고객이었던 지방 국립대 상권도 빠르게 쇠퇴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한민국의 빠른 고령화 △청년 세대의 지방 엑소더스(대탈출) △학령인구 감소 등이 맞물린 결과로 보고 있다.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이들 상권에서는 올해 처음으로 50대 이상의 소비 액수가 20대를 추월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세대별 소비를 살펴보면 50대 이상의 소비는 2019년 756억원에서 올해 1468억원으로 무려 두 배 가까이 뛰었다. 반면 20대의 소비는 2019년 1790억원에서 올해 1445억원으로 줄어들었다. 지방대 8곳의 해당 상권 전체 매출은 2019년 4101억원에서 올해 5698억원으로 39% 늘긴 했다. 하지만 이 기간 김밥·햄버거 등 외식 물가가 40% 안팎으로 급등한 점을 감안하면 지방대 상권은 사실상 '연명 수준'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단순히 소비의 고령화에 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업계에서는 2030세대의 소비가 무너지면서 트렌디한 점포도 잇달아 사라지고 있는데,이는 결국 상권 붕괴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경북대가 있는 대구광역시의 경우 2023년 20대 인구가 28만8530명에서 2024년 27만4740명으로 줄어든 반면,50대 이상은 같은 기간 122만5024명에서 125만7468명으로 늘었다. 전남대가 위치한 광주광역시도 20대 인구가 19만4328명에서 18만6051명으로 감소한 반면,50대 이상은 64만6249명에서 66만5427명으로 증가했다. 이종우 아주대 경영학과 교수는 "대학교 근처는 대학생들을 겨냥한 가성비 좋은 매장이 많은데,줄어들거나 떠난 청년들의 자리를 중장년층이 겨우 메우고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학령인구 감소도 한몫하고 있다.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에 따르면 비수도권 대학들은 동일한 시기에 신규 학생이 대폭 감소했다. 4년제 대학의 경우 2016년 대비 2023년에 경남은 20.3% 줄었고,전남 17.7%,강원 14.8%,충북 13.7%,전북 13.1% 등 비수도권은 전체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였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최근 지방자치단체들은 죽어가는 지방 상권을 살리는 데 안간힘을 쏟고 있다. 대표적으로 부산에서는 대학가 주변을 포함한 5곳이 자율상권구역으로 지정돼 상권을 활성화하기 위해 페스티벌,마켓 개최 등 다양한 시도가 진행 중이다. 지정된 5곳은 금정구(부산대),부경대 대학로,하단,초량동,기장시장 일대다. 이들 구역은 거점 공간과 특화 거리 조성,다양한 커뮤니티 형성 등을 포함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전에는 공실률이 30%에 육박하는 등 침체됐지만,자율상권구역 지정 이후 100여 곳이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으로 등록하며 소비자들의 발길을 유도하고 있다. 이외에도 강원 춘천시는 소양로 일원의 74개 점포를 대상으로 예산 1억5000만원을 투입해 상인과 주민이 참여하는 상권 전략 수립과 생태계 조성에 힘쓰고 있다. 향후 테마 공간 조성,특화 상품 개발,브랜드 구축 등 맞춤형 상권 활성화 프로그램이 추진될 예정이다.


[대구 이호준 기자]


AI가 뉴스를 읽고 숨겨진 투자 기회까지 찾아드립니다.


남들보다 한발 앞선 투자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닫기

기사 속 종목 이야기

Powered by

perplexity

GS리테일

007070,KOSPI

20,750

+ 2.98%

BGF리테일

282330,

KOSPI

109,100

+ 2.06%

신세계푸드

031440,

KOSPI

38,650

+ 3.62%

GS리테일

현재가 20,750

+ 2.98%

11.10 15:30

GS리테일은 편의점,슈퍼마켓,HMR(가정간편식) 등 다양한 유통 채널을 운영하며,전국적으로 폭넓은 오프라인 유통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은 GS25 편의점과 GS더프레시 슈퍼마켓 등 소매 유통업이며,최근에는 온라인 플랫폼과 연계한 O2O 서비스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지방 대학가 상권에서는 청년 인구 감소와 소비 고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중장년층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자율상권구역 지정 등 지역 활성화 정책이 추진되는 가운데,온누리상품권 가맹 등 편의점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GS리테일은 전국 단위 유통망과 다양한 상품 구색,디지털 전환 역량을 바탕으로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BGF리테일

현재가 109,100

+ 2.06%

11.10 15:30

BGF리테일은 CU 브랜드를 통해 전국 단위 편의점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가맹점 중심의 확장 전략과 자체 물류 시스템을 강점으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요 수익원은 편의점 상품 판매,프랜차이즈 수수료,자체 브랜드(PB) 상품 개발 등입니다.


지방 대학가 상권은 학령인구 감소,청년층의 지역 이탈,고령화 등으로 인해 침체되고 있으며,소비층이 중장년층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접근성과 생활밀착형 서비스가 강점인 편의점 업태는 상대적으로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온누리상품권 가맹 확대와 지역 상권 활성화 정책은 편의점 유통 채널의 활용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BGF리테일은 인구 구조 변화,경기 둔화,원가 부담 상승 등 외부 환경 속에서 물류 효율화,디지털 서비스 확대,PB상품 경쟁력 강화,지역 밀착형 매장 전략을 통해 수익성 개선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신세계푸드

현재가 38,650

+ 3.62%

11.10 15:30

신세계푸드는 단체급식,식자재 유통,외식 브랜드 운영 등 종합 식품서비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은 기업,학교,병원 등 다양한 기관을 대상으로 한 급식 서비스와 식자재 공급,외식 프랜차이즈 운영 등입니다. 자체 식품 제조 역량과 전국 단위 유통망,대형 유통 계열사와의 시너지 효과가 강점입니다.


지방 대학가 상권의 쇠퇴와 외식업체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단체급식 및 식자재 유통과 같은 B2B 중심 사업은 상대적으로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지자체의 상권 활성화 정책과 연계한 지역 식자재 공급,단체 행사 급식 등 새로운 수요 창출 기회가 있을 수 있습니다.


외부적으로는 인구 구조 변화,원가 상승,경기 둔화 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신세계푸드는 식자재 유통 효율화,신제품 개발,외식 브랜드 다각화 등을 통해 안정적인 성장세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AI 추천 질문Beta

Powered by

perplexity

지방 국립대 인근 상권 쇠퇴의 주요 배경은?

청년 인구 감소가 지역 경제에 미칠 영향은?

검색

면책 조항 :이 기사는 다른 매체에서 재생산되었으므로 재 인쇄의 목적은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지,이 웹 사이트가 그 견해에 동의하고 그 진위에 책임이 있으며 법적 책임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이 사이트의 모든 자료는 인터넷을 통해 수집되며, 공유의 목적은 모든 사람의 학습과 참고를위한 것이며, 저작권 또는 지적 재산권 침해가있는 경우 메시지를 남겨주십시오.
©저작권2009-2020 제주재경일보    연락주세요 Sit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