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0 HaiPress
중국 AI패권 美까지 위협
美 최다 활용 오픈소스 중국산
코딩 스타트업도 中모델 의존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중국산 오픈소스 인공지능(AI)이 빠르게 세력을 넓히고 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AI 경쟁의 승자는 중국"이라며 파문을 일으킨 뒤 "중국은 미국에 단지 나노초 차이로 뒤처져 있을 뿐"이라면서 진화에 나섰지만 정작 현장의 개발자들은 값싸고 빠른 중국 모델로 갈아타는 흐름을 숨기지 않고 있다.
블룸버그는 10일(현지시간) '실리콘밸리는 얼마나 중국산 AI에 의존하고 있나'라는 제목의 칼럼을 통해 "중국형 AI가 단순한 경쟁자가 아니라 실리콘밸리의 코드 속에 들어오기 시작했다"고 진단했다. 미국 벤처투자자 차마트 팔리하피티야는 최근 한 팟캐스트에서 "내가 투자한 한 회사가 중국 스타트업 문샷AI의 AI를 활용하기 시작했다"며 "솔직히 오픈AI나 앤스로픽보다 훨씬 저렴하다"고 말했다.
공개적으로 중국 모델을 언급하는 사례는 늘어나고 있다. 미라 무라티 전 오픈AI 최고기술책임자(CTO)가 설립한 스타트업 '싱킹 머신스 랩'은 최근 자사의 연구가 큐웬3 연구에서 영감을 받았을 뿐 아니라 그 기반 위에 구축됐다고 밝혔다. 이러한 흐름은 AI 코딩 스타트업에서도 포착된다.
기업가치가 약 100억달러로 평가받는 '커서'가 지난달 공개한 신형 코딩 플랫폼은 중국의 딥시크 모델을 사용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AI가 문제를 풀며 스스로 생산하는 언어가 갑자기 중국어로 바뀌는 현상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또 다른 AI 코딩 스타트업 코그니션AI 역시 중국 스타트업 '지푸'의 모델을 활용한 정황이 공개됐다. 지푸 측은 "오픈 소스 기여의 긍정적 영향"이라며 간접적으로 코그니션AI가 자사 AI를 사용했다고 언급했다.
데이터는 이런 흐름을 명확히 보여준다. 올해 들어 AI 오픈소스 플랫폼 '허깅페이스'에서 큐웬 모델 누적 다운로드 수는 3억8530만건으로,메타의 라마(3억4620만건)를 앞질렀다. 허깅페이스에 새로 올라오는 언어 모델의 40% 이상이 큐웬 기반 파생 모델이며 메타 기반 비중은 15%로 급락했다. 블룸버그는 "미국은 최첨단 칩과 압도적 컴퓨팅 자원에서 우위를 보유하고 있지만 중국의 저비용,개방형 전략이 개발자 생태계를 빠르게 흡수하고 있다는 점은 부정하기 어렵다"며 "워싱턴이 장기적으로 승리하고 싶다면 왜 실리콘밸리가 '다른 쪽'을 선택하고 있는지 자문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AI를 기반으로 한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서도 빠르게 앞서가고 있다. 중국 로봇 산업 연구기관인 고공로봇산업연구소(GGII)에 따르면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판매량은 올해 상반기 4000대를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작년 한 해 판매량(800대)의 5배에 이르는 규모다. 연구소는 1년 새 실험실 시제품에서 대량 납품으로 발전하면서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이 양산 단계로 나아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류이장 베이징 휴머노이드 로봇 혁신센터 책임자는 "올해 말이면 판매량이 약 2만대에 달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실리콘밸리 원호섭 특파원 / 베이징 송광섭 특파원]
AI가 뉴스를 읽고 숨겨진 투자 기회까지 찾아드립니다.
남들보다 한발 앞선 투자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닫기
Powered by
perplexity
NVIDIA Corporation
NVIDIA Corporation은 GPU(그래픽 처리 장치) 및 AI 반도체 분야의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데이터센터,AI 컴퓨팅,자율주행,고성능 컴퓨팅 등 다양한 산업에 첨단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최근 젠슨 황 CEO가 AI 경쟁 구도에서 중국의 부상을 언급하였으며,실리콘밸리 내에서는 중국산 오픈소스 AI 모델의 확산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AI 개발 환경에서 고성능 연산 인프라에 대한 수요 증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NVIDIA의 제품은 AI 개발 및 서비스 제공에 핵심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외부 경영 환경 측면에서는 미중 기술 경쟁,미국의 수출 규제,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안정성,AI 칩 시장 내 경쟁 심화 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Meta Platforms,Inc.
Meta Platforms,Inc.는 글로벌 소셜 네트워크와 메신저,VR/AR,AI 연구개발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며,자체 대형 언어모델(LLM)인 Llama 시리즈를 오픈소스로 공개하여 AI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허깅페이스 플랫폼 내 큐웬 모델의 다운로드 수가 메타의 라마를 앞질렀으며,글로벌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메타의 오픈소스 AI 모델이 주요 비교 대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중국산 오픈소스 AI 모델의 확산은 메타의 AI 플랫폼 전략과 오픈소스 생태계 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외부 환경에서는 글로벌 AI 경쟁,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확산,데이터 프라이버시 및 규제,AI 기술 표준화 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최근 실적은 AI 및 광고 플랫폼의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으며,시장에서는 AI 연구개발 투자와 생태계 확장 전략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Microsoft Corporation
Microsoft Corporation은 클라우드 컴퓨팅,생산성 소프트웨어,AI 플랫폼,검색엔진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으며,오픈AI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ChatGPT 등 첨단 AI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최근 실리콘밸리에서는 중국산 오픈소스 AI 모델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으며,일부 개발자와 스타트업이 오픈AI,앤스로픽 등 미국 기반 모델 대신 중국의 문샷AI,딥시크,지푸 등 저비용·고성능 AI 모델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AI 오픈소스 플랫폼 허깅페이스에서도 중국 큐웬 모델의 누적 다운로드 수가 메타의 라마 모델을 앞지르는 등,글로벌 개발자 생태계 내 중국 AI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습니다.
Microsoft의 AI 서비스와 오픈AI와의 협력 구조는 여전히 강점을 유지하고 있으나,글로벌 AI 경쟁 환경에서는 저비용 오픈소스 AI의 확산과 중국 모델의 기술력 향상이 새로운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시장 내 경쟁,데이터 규제,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확산 등 외부 환경 변화 역시 Microsoft의 AI 및 클라우드 사업 전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최근 실적은 클라우드 및 AI 부문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며,시장에서는 AI 경쟁력과 파트너십 전략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Alphabet Inc.
Alphabet Inc.는 검색,광고,클라우드,AI 연구개발,유튜브 등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을 운영하며,자체 대형 언어모델(LLM)인 Gemini 및 AI 기반 서비스 확장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실리콘밸리 내에서 중국산 오픈소스 AI 모델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며,저비용과 빠른 성능을 바탕으로 다양한 스타트업과 개발자들이 중국형 AI를 도입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AI 모델 다변화와 오픈소스 AI의 확산은 Alphabet Inc.의 AI 플랫폼 전략,개발자 생태계,클라우드 AI 서비스 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오픈소스 LLM의 성장과 비교되는 구글의 AI 모델은 시장 내 기술 표준화와 서비스 차별화 전략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합니다.
외부 환경으로는 글로벌 AI 경쟁,오픈소스 생태계 확장,디지털 광고 시장의 변화 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최근 실적은 광고 및 클라우드 부문의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으며,시장에서는 AI 연구개발 투자와 플랫폼 경쟁력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Powered by
perplexity
중국 오픈소스 AI 확산이 실리콘밸리 개발자 생태계에 미칠 영향은?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급성장의 배경은?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