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9 HaiPress
서울 코트라 본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산업통상자원부와 코트라(KOTRA)는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중견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한 ‘관세 대응 수출 바우처 사업’을 대폭 확대한다고 19일 밝혔다.
정부는 코트라를 통해 대미 직·간접 수출 기업과 중간재 수출 기업 900곳을 관세 대응 수출 바우처 대상으로 정해 지원하고 있다. 이번에는 전 세계 수출 기업과 대미 수출 준비 중인 내수 기업까지 포함해 지원 대상을 약 1300개사로 늘리기로 했다.
특히 지난해 기준 수출 200만달러 이상 또는 대미 직수출 20만달러 이상 기업 대상으로 신청 접수 후 3일 이내 선정 여부를 안내하는 ‘패스트 트랙’도 마련한다. 패스트 트랙에서 탈락해도 일반 트랙을 통해 재평가 받을 기회가 주어진다.
관세 대응 바우처 지원 사업은 외국 정부의 관세로 수출 어려움이 생긴 기업의 피해 분석,생산 거점 이동,대체 시장 발굴에 들어가는 비용의 일부를 바우처 형식으로 지원하는 제도다.
현재 관세 대응 바우처 사업에 참여 중인 기업들은 해외전시회,국제 운송,해외 인증 등 기존 인기 메뉴 외에도 코트라 해외무역관이 선별한 전문가를 활용한 ‘관세대응 패키지’를 이용하고 있다.
국내 한 자동차 부품 제조사는 ‘해외 생산 거점 진출 지원 조사·컨설팅’을 통해 미국 자동차 공장 설립 기초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코트라는 미국 부동산 전문 기업과 협력해 관련 조사를 현지에서 지원 중이다.
강경성 코트라 사장은 “관세 협상 타결로 우리 기업이 새 기회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며 “관세 대응 바우처 사업이 대체 시장 발굴과 생산 거점 이전 등 수출 해법 마련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